Release date:2019-06-03
현대차의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 전환과 중국의 수소 시장 및 신사업 분석+ 查看更多
현대차의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 전환과 중국의 수소 시장 및 신사업 분석
+ 查看更多
공유:
공유:
열람:370
[ 현대차의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 전환과 중국의 수소 시장 및 신사업 분석 ]
・성과물: 리포트
・형식: PDF (46페이지)
・조사 기간: 2019년 10월 ~ 2019년 11월
・조사 내용: 현대자동차 그룹은 한국을 대표하는 자동차 회사로서 세계에서 활약 중입니다. 다만 2016년 이후 최대 시장인 중국시장에서의 판매 부진으로 당분간 위기감이 없어지진 않을 것 같습니다. 인테그럴은 현대자동차의 현재의 위기와 이를 어떻게 극복하려고 하는지 분석해보았습니다.
보고서의 샘플 이미지

목차
Part 1. 인사이트 | 2 | |
시작하며 | 3 | |
- 현대자동차 그룹, 중국시장, 연료전지 산업 | ||
수소 사업 파트너 토요타 | 4 | |
- 글로벌 기업의 자율주행차, 연료전지차 기술 | ||
국내의 수소 서플라인 체인 구축 | 5 | |
- 일본과 같은 수소 사업망을 구축하기 어려운 국내의 여건 | ||
해외의 수소 서플라이체인 구축 | 6 | |
- 현대자동차 그룹의 국내외 연료전지사업 컨소시엄 | ||
중국과 연료전지 관련 기업의 증가 | 7 | |
- 칭화대학 베이징과 협업을 통한 중국내 수소 서플라이체인 구축 | ||
현대차의 중국 연료전지 시장 현황 | 8 | |
- 중국 시장에서의 연료전지 사업 확대를 목표로 한 영업 활동 | ||
글로벌 기업의 친환경차 개량 | 9 | |
- 세계 각국의 연비규제에 따른 자동차 제조사의 친환경차 개량 | ||
연료전지차를 통한 차별화 | 10 | |
- 중국 차량 공유 업체의 전기차 자체 생산 검토 | ||
연료전지와 AI 기술과의 만남 | 11 | |
- 연료전지와 IT 기술 개발을 통한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 전환 | ||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의 도약 | 12 | |
- 사업 다각화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기대 | ||
Part 2. 중국 시장과 현대차의 중국 진출 | 13 | |
중국의 자동차 산업 현황 | 14 | |
- 신에너지차 판매 추이와 신에너지차 의무 생산, 판매 목표 | ||
현대자동차와 중국 시장 | 15 | |
- 중국시장에서의 현대차 판매량 저하 및 임직원 축소 | ||
중국 SUV 시장의 성장과 기회 | 16 | |
- 넥쏘로 친환경차 인지도 향상 및 SUV 시장 개척 전략 | ||
현대차의 생산 능력과 중국 시장 | 17 | |
- 중국에서의 현대차의 생산능력 및 전기차 라인 확대 | ||
현대차의 중국 상용차 시장 부진 | 18 | |
- 상용차 부분의 부진과 연료전지 사업 강화로 인한 기회 모색 | ||
외국 자동차회사와 중국 시장 | 19 | |
-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의 외국기업 판매량 변화 추이 | ||
현대차의 인사 교체 | 20 | |
- 현대차의 중국 사업 경영 조직 혁신 | ||
중국 상용차 시장 공략 전략 | 21 | |
- 4대 중점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료전지 상용차 사업 | ||
Part 3. 현대차의 연료전지차 넥쏘 | 22 | |
현대차 그룹의 중대성 평가 | 23 | |
- 현대차가 판단한 사회적 영향력이 가장 큰 친환경 차량의 생산 | ||
현대차 넥쏘의 성능 향상 | 24 | |
- 넥쏘의 주행거리 향상과 높은 가격, 충전소 보급의 문제 | ||
현대차 넥쏘의 판매량 | 25 | |
- 넥쏘의 월별 판매량, 미라이와의 경쟁 및 중국 진출 가능성 | ||
넥쏘의 부품 공급사와 가격 비중 | 26 | |
- 넥쏘의 부품 제조사, 현대차 그룹의 관련성, 스택의 비용 문제 | ||
Part 4. 현대차와 미래차 기술 투자 | 27 | |
현대차와 미래 기술 개발 | 28 | |
-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크래들과 신기술 투자 및 협업 | ||
현대차와 토요타의 중국 수소 사업 | 29 | |
-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칭화대학과 베이징자동차와의 연계 및 기타 지역 | ||
현대차의 음성 인식 분야 기술 개발 | 30 | |
- 미국의 사운드하운드와 중국의 바이두 두어OS의 투자 및 성과 | ||
현대차와 자율주행 기술 개발 | 31 | |
- 현대차와 앱티브의 합작회사 설립과 바이두 및 다수의 기업과의 연계 | ||
바이두와의 자율주행 기술 협업 | 32 | |
- 기아차 스포티지를 바탕으로 한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 협업 | ||
오로라 프로젝트 | 33 | |
- 오로라와의 협업을 통한 넥쏘의 자율주행 기능 개발 | ||
Part 5. 현대차와 수소사회 | 34 | |
일본과 한국의 수소 사회 | 35 | |
- 수소 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과 일본과의 유사성 | ||
국가별 연료전지 기술 수준 | 36 | |
- 중국의 기술적 성장과 향후 한국의 연료전지 기술 현황 | ||
수소위원회와 현대 자동차 | 37 | |
- 수소위원회를 통한 연료전지차 선도업체로서의 자리매김과 활동 | ||
국내 연료전지 기술 협력(발전) | 38 | |
- 두산퓨얼셀과의 연료전지 분산발전 기술 협력 | ||
국내 연료전지 기술 협력(선박) | 39 | |
- 강원도청과 친환경 수소어선 개발 추진 | ||
국내 연료전지 기술 협력(트램) | 40 | |
- 현대로템과 협력하여 수소전기트램 개발 | ||
사우디에 전기차 보급 검토 | 41 | |
- 사우디아라비아의 대표 석유회사 사우디 아람코와의 협업 | ||
스위스에 연료전지 트럭 보급 | 42 | |
- 스위스의 대표 수소 기업 H2energy와의 업무협약 체결 | ||
프랑스에 연료전지차량 보급 | 43 | |
- 유럽의 수소 에너지 제조, 인프라 구축 대표 기업과 업무협약 체결 | ||
북미에 연료전지 시스템 보급 | 44 | |
- 북미 시장의 대표 엔진 제조사 커민스와의 전략적 협력 | ||
국내에 연료전지 버스 보급 | 45 | |
- 정부의 연료전지 버스 보급 사업을 통해 향후 양산 체제 구축 | ||
마치며 | 46 | |
-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서의 미래의 현대차 |
샘플 리포트를 원하시는 분은 회원 등록하신 후 회원 서비스 페이지에서 다운로드를 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