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の記事を共有する:
記事の閲覧数:877
・카테고리: 수소 연료 전지, 신에너지차
・일시: 2019년 7월 29일
[ 해외 FC 기업의 중국 수소시장 진입 전략 ]

중국 수소연료시장의 잠재적인 수요의 크기에 해외 기업들도 물론 주목하고 있으며 여러 기업들이 중국 진출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수소연료전지 사업에 관한 해외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에는 참가 비용과 진입 속도 뿐만이 아니라 제조 비용과 기술, 노하우의 유출 방지를 균형 있게 고려하고 결정해야 합니다. 현재까지의 주요 연료 전지 관련 기업의 중국 진출의 실례를 보면 크게 4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1. 수출
(예) Power Cell은 중국 자동차 업체의 우한타이꺼(武漢泰歌)수소에너지 자동차 주식회사(Tiger)에 2017년부로 연료 전지 스택을 수출하고 있습니다.공급자로서 해외에서 제조한 상품을 중국 시장에 제공하는 가장 위험도가 낮은 방법입니다. 단, 이는 수출 비용이나 관세, 국가간의 마찰이나 정치 리스크 등을 수반하게 되고, 많은 수소 관련 장치 제조사는 중국보다 자국의 노동 코스트가 높기 때문에 중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것보다 비용이 더 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중국 시장에서의 제품 현지화를 진행하기 어렵고,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높이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 Power Cell은 중국 자동차 업체의 우한타이꺼(武漢泰歌)수소에너지 자동차 주식회사(Tiger)에 2017년부로 연료 전지 스택을 수출하고 있습니다.공급자로서 해외에서 제조한 상품을 중국 시장에 제공하는 가장 위험도가 낮은 방법입니다. 단, 이는 수출 비용이나 관세, 국가간의 마찰이나 정치 리스크 등을 수반하게 되고, 많은 수소 관련 장치 제조사는 중국보다 자국의 노동 코스트가 높기 때문에 중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것보다 비용이 더 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중국 시장에서의 제품 현지화를 진행하기 어렵고,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높이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현지 파트너 기업과 협력
(예) Hydrogenics는 중국 국내 중대형 차(버스, 트럭 등)의 SI(시스템 통합)과 플랫폼 구축을 중시하며 복수의 SI와 협동하여 Hydrogenics의 연료 전지 시스템을 시장에 도입하기 위해서 인티그레터 인증 프로그램(CIP, Certified Integrator Program)을 설립하였습니다.
(예) Ballard (아래 참조)
중국 시장에 대한 지식과 판매망을 가지고 있는 현지 파트너 기업과 OEM 계약이나 전략적 제휴를 맺고, 연료 전지 시스템 등의 제품 현지화를 빠르게 진행함으로써 수출보다 신속히 시장 점유율을 획득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연료 전지 스택 제조 기술 등의 기술 이전비나 로열티 등의 부차적인 수익을 얻는 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동시에 자사가 가지는 최첨단 기술이 파트너 기업에 유출되는 리스크가 있어, 자신이 가진 기술 · 노하우 등의 지적 재산을 제대로 관리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파트너 선택에 있어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을 선별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예) Hydrogenics는 중국 국내 중대형 차(버스, 트럭 등)의 SI(시스템 통합)과 플랫폼 구축을 중시하며 복수의 SI와 협동하여 Hydrogenics의 연료 전지 시스템을 시장에 도입하기 위해서 인티그레터 인증 프로그램(CIP, Certified Integrator Program)을 설립하였습니다.
(예) Ballard (아래 참조)
중국 시장에 대한 지식과 판매망을 가지고 있는 현지 파트너 기업과 OEM 계약이나 전략적 제휴를 맺고, 연료 전지 시스템 등의 제품 현지화를 빠르게 진행함으로써 수출보다 신속히 시장 점유율을 획득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연료 전지 스택 제조 기술 등의 기술 이전비나 로열티 등의 부차적인 수익을 얻는 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동시에 자사가 가지는 최첨단 기술이 파트너 기업에 유출되는 리스크가 있어, 자신이 가진 기술 · 노하우 등의 지적 재산을 제대로 관리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파트너 선택에 있어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을 선별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3. 합자회사를 현지 파트너 기업과 설립
(예) Ceres Power는 2018년 중국 최대 자동차 부품 업체 Weichai와 중국 시장을 위한 장기 전략적 자본 제휴를 발표하였습니다. 그 중에서 연료 전지 제조에 있어서의 합작회사 설립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예) Ballard (아래 참조)
(예) Ceres Power는 2018년 중국 최대 자동차 부품 업체 Weichai와 중국 시장을 위한 장기 전략적 자본 제휴를 발표하였습니다. 그 중에서 연료 전지 제조에 있어서의 합작회사 설립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예) Ballard (아래 참조)
파트너 기업과 보다 밀접하게 자본 제휴 등으로 결합하여 중국내에 합자회사를 설립함으로써 현지 생산을 가능하게 해, 보다 빠르고 크게 시장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방법입니다. 현지 기업으로서 수송비나 관세가 없고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획득할 기회도 있습니다. 비교적 저가의 중국의 노동력을 사용할 수도 있어 해외 생산보다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으나 기술 유출이나 합작회사의 컨트롤을 둘러싼 위험성이 크므로 적절한 파트너 선택하여 장기간의 명확한 사업 전략의 구축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4. 현지 자회사를 중국 국내에 설립
(예) 해당 기업이 없음.
기술 유출의 위험을 피하고 현지 제조라는 이점이 있지만, 자본투자의 위험이 크고 중국 현지의 노하우와 네트워크를 처음부터 구축해 나가야 합니다. 유럽, 미국 각국과 비즈니스 문화나 법 제도 · 규제가 크게 다른 중국에서 중국 시장에 진입 경험이 없는 해외기업이 단독으로 연료전지 · 수소 관련 장치의 제조를 실시하는 것은 실패할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술 유출의 위험을 피하고 현지 제조라는 이점이 있지만, 자본투자의 위험이 크고 중국 현지의 노하우와 네트워크를 처음부터 구축해 나가야 합니다. 유럽, 미국 각국과 비즈니스 문화나 법 제도 · 규제가 크게 다른 중국에서 중국 시장에 진입 경험이 없는 해외기업이 단독으로 연료전지 · 수소 관련 장치의 제조를 실시하는 것은 실패할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의 4가지 선택 사항을 고려하면 향후 성장이 예상되는 수소 사업 · 연료 전지 시장에 진출하여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지 파트너 기업을 발견하고 라이선스 계약과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합니다.
여기서 중국 연료 전지 시장 참가의 예로서 두 개의 해외의 연료 전지 기업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Ballard: 캐나다의 연료 전지 회사로 미국, 유럽 등을 포함해 2015년 중국에 진출하였다.

Hydrogenics: 수소 충전소 건설도 하는 캐나다의 연료 전지 업체로 2015년부터 중국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캐나다의 연료 전지 기업 2곳은 중국의 상용차용 연료 전지 시장을 주타겟으로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입했습니다. Ballard는 2018년 대형 자동차용 디젤 엔진을 생산하는 중국 최대 자동차 부품 업체 Weichai와 전략적 자본 제휴를 맺었습니다. 이 제휴로 산둥성에 합작회사를 설립하고, 차세대 연료 전지 스택의 제조를 중국내에서 개시함을 발표했습니다. Weichai가 지닌 중국내의 에코시스템을 이용해 마켓쉐어를 확대하려고 하고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전부터 Broad Ocean과도 전략적 자본 제휴를 맺어 Broad Ocean의 자회사인 Shanghai Edrive가 Ballard의 연료 전지 시스템을 중국내에서 OEM 생산하고 있습니다. Ballard의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이 프로그램을 통해 350만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기술 이전에 관한 수익으로 얻었습니다. 이와 함께 Ballard는 Sinosynergy와의 합작회사 Ballard synergy에 연료 전지 스택의 OEM생산을 위탁하고 협업처인 상하이중소(上海重塑) Refire등을 통해서 시스템화하고 주요 자동차 업체에 판매하여 시장에 신속한 진입하고 있습니다(그림 1). 현재 시장에 있는 FCV의 7할은 Ballard Synergy의 스택이 채용되고 있습니다.
그림 1. Ballard를 둘러싼 중국 내의 생태계

한편으로 Hydrogenics는 베이징의 연료 전지 회사의 베이징 이후아통(북경억화통, 시노테크, SinoHytec)과 전략 제휴를 맺고 있습니다. 많은 자동차 제조업체를 고객으로 둔 SinoHytec와 협력함으로써 중국 중대형차 시장에 특화된 새로운 연료전지 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 2017년부터 푸젠성(福建省)의 연료 전지용 압축기 업체의 푸젠설인(福建雪人, Snowman)과 전략적 자본 제휴를 맺고 있으며, 자동자 제조 대기업인 지리자동차(吉利, Geely)와 관련 기금 출연하에, Hydrogenics는 주식 17.6%를 Snowman에 매각하였습니다. Snowman과의 자본제휴와 Geely와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Geely를 자신의 에코시스템에 포함시키기 위한 목적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양사의 중국 사업 활동 · 전략의 세부 사항은 2019년 해외 기업의 중국 수소 연료 전지 전략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양사의 중국 사업 활동 · 전략의 세부 사항은 2019년 해외 기업의 중국 수소 연료 전지 전략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두곳의 회사 모두 OEM을 포함한 현지 파트너와 제휴를 맺어, 현지에서 연료 전지 시스템을 생산하는 체제를 만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두 회사의 중국 시장에의 참가 방법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Ballard는 Hydrogenics보다 리스크를 크게 가졌습니다. Ballard는 연료 전지의 코어가 되는 스택의 제조를 OEM 또는 합작회사를 통해 중국 현지에서 제조하고 있지만, Hydrogenics는 스택의 제조를 해외의 자사 공장에서 행하고 있습니다.
얼핏 보면 핵심이 되는 연료 전지 스택의 제조 기술 유출을 꺼려하는 보수적인 Hydrogenics에 비해, Ballard는 신속한 시장 진입을 중시하고 MEA등의 부품 공급 및 스택의 제조 기술 이전비 및 OEM 계약의 제품 판매 로열티로 수익을 올리고 그 수익을 연구 개발에 돌리는 선순환을 전략적으로 만들어냅니다. 이렇게 두 회사의 차이를 엿볼 수 있습니다.
한편, Ballard의 경우, 스택의 핵심이 되는 MEA는 캐나다 자사 공장에서 제조하고 있어 중요한 기술의 유출을 막는 리스크 헤지를 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MEA를 해외에서 제조해 스택을 중국에서 제조하는 것이 중국 시장 진입과 연료 전지 제조에 관해 균형 있게 지적 재산을 관리하는데 있어서의 유효한 전략으로 보여집니다만, 현재 중국에서는 SinoHyKey등의 MEA를 제조하는 중국 국내 현지 기업이 연달아 등장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 중국 MEA 국산화 움직임이 가속화, 잇따른 신규 진입으로 장래 경쟁 격화되나 ]
그러나 현재 중국에서는 SinoHyKey등의 MEA를 제조하는 중국 국내 현지 기업이 연달아 등장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이에 MEA도 중국내에서 제조하는 국산 연료 전지 스택이 비용면에서는 큰 이점을 갖게 됩니다. 해외의 선진 기술을 보유한 기술자를 도입하여 급속히 기술 수준을 향상하고 있는 중국 국내기업의 현재의 경향을 감안하면, 향후 MEA를 해외에서 만든다고 하는 전략이 통용되지 않게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의 보조금과 관세 등이 MEA등의 혁신 부재를 현지에서 생산하는 기업을 우대하는 쪽으로 향할 위험이 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2019년 중국 수소 연료전지 산업의 최신동향 조사에서 상세 기술). 기술 유출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하여 언젠가는 중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전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향후 Ballard를 포함해 그 외의 해외 기업이 어떠한 중국 현지 파트너를 선택해 혁신 부재를 포함한 완전한 현지 생산으로 향하는지, 어떠한 방법으로 자사의 첨단 기술을 지키면서 중국 시장 진입을 가속시켜 가는지에 관한 시점에서 현지의 시장 · 정책의 동향을 주시해 가는 것이 중국 수소 사업·연료 전지 시장 참가의 전략을 가다듬는 데 있어서 중요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간단하게 현재 중국 시장에 참가하고 있는 기업을 소개하겠습니다.

Ceres Power: 영국의 연료전지 기술 · 엔지니어링 회사. 주로 SOFC(Solid Oxide Fuel Cell,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 연료전지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중국 최대기업의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Weichai와 중국 시장을 향한 장기 전략적 제휴를 발표하였습니다.

Nedstack: 네덜란드의 PEM 연료전지 회사. 주로 시스템 인테그레이터용으로 PEM 연료전지 스택을 설계, 제조하고 있으며 PEM 스택을 모바일에서 대규모 정치형까지 폭넓은 종류로 설치하고 있습니다. 연료 전지 스택의 제공자로서 2018년 현지 기업과 협력하여 장쑤성 장지아강시에 연료 전지 시스템을 조립 공장을 설립하였습니다.

Proton Onsite: 20년 이상의 연구 개발에 기반한 고도의 PEM 전기 기술을 가진 미국의 세계 최대 수소 제조 장치 회사. 2017년 노르웨이 Nel ASA에 인수되어 자회사화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에 관해서는 2016년 광둥국홍(広東国鴻) 수소에너지 과학기술 유한공사(SinoSynergy)와 불산시와 윈푸시에 FCV버스를 배치하기 위해 메가 와트 규모의 대형 PEM 전해조(Electrolytic Cell, 電解槽) 를 독점 공급하는 계약을 맺고 있습니다.

PLUG POWER: 미국의 연료전지 회사. 포크리프트, 예비 전원 등을 대상으로 연료 전지를 제조하는 것 외에 수소 스테이션의 개발 등을 행하고 있습니다. 또 상업용차에 대해도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포크리프트용 MEA는 대부분 우한이공대(武漢理工大学) 계열인 우한이공능원(武漢理工新能源, 최근 우한이공전과기(武漢理工氢電科技)라는 새로운 회사도 설립)이 공급하고 있습니다.

PowerCell: 스웨덴의 고출력 밀도를 가진 PEM 연료전지 스택 시스템 제조사. 정치형부터 자동차, 선박용 등, 폭넓은 용도를 대상으로 스택 시스템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2017년부로 우한타이꺼(武漢泰歌) 수소 에너지 자동차 유한회사(Tiger)부터 연료 전지 스택의 발주를 받고 있습니다.

McPhy: 수소의 고체 저장 기술 개발을 발단으로 프랑스에 2008년 설립되었습니다. 수소의 제조 · 저장 · 배급에 관해 폭넓게 수소 장치의 설계 · 제조 · 통합을 다루고 있습니다. 알칼리 전해조(Electrolytic Cell, 電解槽)를 중국의 발전소에 제공하는 형태로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Ballard, Hydrogenics를 중심으로 각사의 중국에서의 상세한 활동 내용에 대해서는 저희 리포트 2019년 해외 기업의 중국 수소 연료 전지 전략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 신규 가입 등록은 여기에서 (회원 등록은 무료입니다. 등록 하시면 회원 한정의 샘플 리포트를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하며 또한 중국기업 파트너십 투고 안건을 열람 가능하게 됩니다.)
この記事に関して自由なご意見・ご質問を募集しています!下のコメント欄に記入お願いします。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