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の記事を共有する:
記事の閲覧数:376
・집필일시:2019년 1월 8일
・카테고리:수소연료전지
[ 2018년 중국 FCV 생산대수 통계 발표! ]
지난 7일, 2018년 중국 수소 연료 전지 차의 생산량 통계 데이터가 보도되었습니다.OFweek(중국 미디어)이 보도한 데이터에 따르면 2018년 신규 수소 연료 전지 차의 생산 대수는 합계 1619대. 12월에 집중하도록 하여 생산 대수가 증가하고, 연료 전지 합계 출력는 50.91MW에 달해 전년 대비 54.27% 증가했습니다(2018년까지의 통계 데이터는 "중국 수소 연료전지 사업의 최신 동향"리포트 참고).
그림 1. 중국 수소 연료 전지 차 누적 생산 대수

(출처: 실적치는 OFweek의 보도 기준. 목표 치는 신에너지 · 절약에너지 자동차 기술 로드맵, 중국기차공정학회(SAE-China) 2016년 10월인테그럴이 정리)
데이터에 따르면 2018년에 생산된 수소 연료 전지 차는 모두 버스와 수송 차량으로 기존의 경향과 일치합니다.
또한 자동차 메이커별의 점유율은 상위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고 특히 상위 2개사 중통(中通)、페이츠(飛馳)가 생산량의 7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반적 으로 수송차는 버스보다 한번 판매 계약에서의 출하 대수가 많고 예를 들면 1위인 중통은 2017년 말에 대양전기(大洋電機, Ballard의 대주주로 Ballard의 연료 전지 시스템 FCveloCity의 OEM생산 공장을 보유)와 연료 전지 차의 상업화로 전략 체결을 맺고 있고 이러한 프로젝트를 통한 대형 발주가 중통의 점유율을 끌어올린 것으로 생각됩니다.
페이츠기차(飛馳), 베이치푸티엔(北汽福田), 위통버스(宇通), 중식기차(中植), 남경금룡(南京金龍), 선룽버스(申龍) 등 FCV 버스의 개발을 주로 하는 자동차 회사들은 버스 한번 판매 계약의 출하 대수 자체는 적지만 중국 각지에서 진행하는 시내 공공 버스의 실증 운행 프로젝트에 독자 개발의 FCV버스를 투입하고 있습니다.
페이츠기차(飛馳), 베이치푸티엔(北汽福田), 위통버스(宇通), 중식기차(中植), 남경금룡(南京金龍), 선룽버스(申龍) 등 FCV 버스의 개발을 주로 하는 자동차 회사들은 버스 한번 판매 계약의 출하 대수 자체는 적지만 중국 각지에서 진행하는 시내 공공 버스의 실증 운행 프로젝트에 독자 개발의 FCV버스를 투입하고 있습니다.
그림 2. 2018년 중국의 수소 연료 전지 자동차의 자동차 회사별 생산대수

출처: 수치는 "연료전치권 OFweek 산업연구원" 공개 데이터 이용. 2019년 1월 7일
중앙정부 공신부(中央政府工信部)가 발표한 2018년 [ 신에너지 차 추천 목록 ] 제1비에서 제13비까지 등록된 메이커별의 FCV 차량명의 숫자를 살펴보면 동풍기차, 중통, 위통, 선룽, 후티엔에서 등록한 차량명이 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들 업체는 각 도시에서 진행되는 FCV 상업화 실증 운전 프로젝트에 제1탄으로서 소수의 FCV를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2018년 제1비에서 제13비까지 합계 57곳의 기업, 86개의 차량명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그림 3. 2018년 중국 [ 신에너지 차 추천 목록 ]의 연료전지차 회사별 쉐어(등록 차량명 수)

(출처: 공신부[ 신에너지차 추천 목록 ], 인테그럴 작성)
다음으로 신 에너지 차 추천목록에 등록된 FCV차의 차량 형태에 대해서 알아보면 시내 버스(45종)가 가장 많고, 수송버스(22종)는 전체의 약 1/4 정도 입니다.
다음으로 신 에너지 차 추천목록에 등록된 FCV차의 차량 형태에 대해서 알아보면 시내 버스(45종)가 가장 많고, 수송버스(22종)는 전체의 약 1/4 정도 입니다.
그림 4. 2018년 중국 [ 신에너지 차 추천 목록 ]의 연료전지 자동차 차량 형태에 따른 분류

(출처: 공신부[ 신에너지차 추천 목록 ], 인테그럴 작성)
계속해서 신에네차 추천 목록에 등록된 FCV가 탑재하고 있는 연료 전지 시스템의 기업 분류를 살펴보면, 北京億華通(SinoHytec), 広東国鸿重塑(Sinosynergy - Refire) 제조가 반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각각의 연료 전지 시스템에 대해서, SinoHytec의 연료 전지 스택은 캐나다 Hydrogenics의 수입품, Sinosynergy - Refire의 연료 전지 스택은 캐나다 Ballard의 OEM중국 제조품 또는 OEM 개량품(쌍극판은 독자 개발)을 채용해 그것을 독자적인 기술로 시스템을 구축해 독자적인 브랜드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희 회사는 작년 Sinosynergy - Refire사와 상하이중소(上海重塑)를 각각 방문하여, 별도 집필한 불산(仏山)・운부(雲浮) 수소산업파크 시찰 리포트에 동사의 허가를 얻어 동사의 연료 전지 개발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연료 전지 시스템에 대해서, SinoHytec의 연료 전지 스택은 캐나다 Hydrogenics의 수입품, Sinosynergy - Refire의 연료 전지 스택은 캐나다 Ballard의 OEM중국 제조품 또는 OEM 개량품(쌍극판은 독자 개발)을 채용해 그것을 독자적인 기술로 시스템을 구축해 독자적인 브랜드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희 회사는 작년 Sinosynergy - Refire사와 상하이중소(上海重塑)를 각각 방문하여, 별도 집필한 불산(仏山)・운부(雲浮) 수소산업파크 시찰 리포트에 동사의 허가를 얻어 동사의 연료 전지 개발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국산 연료 전지 스택 기술 수준도 향상되고 있지만, 제품 수명, 출력 효율, 제품 안정성 등의 성능은 여전히 외국산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어, 2019년 이후에도 한동안 스택 등의 핵심 부품은 해외 제품을 채용한 연료 전지 시스템이 시장을 석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림 5. 2018년 중국 [ 신에너지 차 추천 목록 ]의 연료전지 시스템 기업에 따른 분류

(출처: 공신부[ 신에너지차 추천 목록 ], 인테그럴 작성)
이어 연료 전지 시스템 출력 효율에 대해서 알아보면 가장 많은 39%는 출력 범위 30 ~ 40kW입니다. 그러나 40kW이상의 것도 전체에서 30%를 차지하며 전년도의 점유율 17.6%에서 크게 늘고 있습니다. 중국의 FCV는 거의 모든 것이 레인지 익스텐더 타입(동력 전지와 수소 연료 전지의 하이브리드, 중국어에서는 "증도식(増程式)" 또는 "전전(電電) 하이브리드"로 불림)인데, 보조금 교부의 대상이 되는 연료 전지에 대한 성능 요구도 점점 엄격해지고 있고, 상하이시에서는 연료 전지 시스템의 출력이 구동 모터 출력의 50%이상 또는 60kW이상의 정격 출력이라는 조건을 달하는 것만 보조금 최고 금액을 지급할 예정입니다(중형, 대형 상용차에 50만위안, 소형 상용차에 30만원, 승용차에 20만위안).
이러한 정책적 노력과 시스템업체의 시장경쟁으로 앞으로도 중국산 연료전지 시스템의 출력성능도 단계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과 시스템업체의 시장경쟁으로 앞으로도 중국산 연료전지 시스템의 출력성능도 단계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림 6. 2018년 중국 [ 신에너지 차 추천 목록 ]의 연료전지 출력별 점유율

(출처: 공신부[ 신에너지차 추천 목록 ], 인테그럴 작성)
2019년 1월 9일 INTEGRAL Co., Ltd
記事の閲覧数:376
この記事に関して自由なご意見・ご質問を募集しています!下のコメント欄に記入お願いします。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